[칼럼]윤성덕/길가메시의 눈물/국제신문


[인문학 칼럼] 길가메시의 눈물

후대 기록자가 삭제한 초인적 영웅의 ‘나약함’

지금 대한민국 사회는 어떤 눈물을 지우고있나


혼자 울고 나면 마음이 편해진다. 물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겠지만. 그런데 일단 자기 방에서 나오면 눈물은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자기 감정을 통제하지 못하는 무능한 사람처럼 보일까 봐 두렵기도 하고 인간적인 면이 있다며 감정적으로 동조하는 친구를 얻을 수도 있다. 그 사회의 통념과 문화적인 배경에 따라 눈물의 무게가 달라진다.

고대 서아시아에서 창작된 문학작품 중 ‘길가메시 서사시’는 상당히 널리 알려져 있는데, 초자연적인 힘과 빼어난 용모를 자랑하는 길가메시가 흘린 눈물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은 많지 않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길가메시가 둘도 없는 친구를 잃고 울었다는 사실은 사라지지 않고 필사본마다 남아 있지만, 앞날이 막막하고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해서 울었다는 사실은 그렇지 않다.

길가메시가 흘린 눈물을 좀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이 작품이 오랜 시간에 걸쳐서 필사하며 성장을 거듭한 결과물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가장 보존이 잘 된 토판은 기원전 7세기에 니느웨 왕궁에서 쓴 것으로 토판 열두 개에 아카드어로 기록했다. 그러나 가장 오래된 작품은 기원전 21세기나 그 이전에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하는데, 이 문서는 일단 메소포타미아 문명 초기에 사용했던 수메르어로 기록하였다. 따라서 우리에게 잘 알려진 ‘길가메시 서사시’는 이 수메르어 판본의 아카드어 번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수메르어 필사본들은 통일성이 있는 한 작품이 아니라 주인공 이름이 길가메시라는 사실 외에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 여러 편의 이야기로 발견되었다. 길가메시가 하늘의 황소와 싸운 이야기와 삼나무 숲을 지키는 괴물과 싸우러 가는 이야기가 서로 관련이 없는 작품이었고, 심지어 후대의 ‘길가메시 서사시’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이야기들도 있었다는 것이다.

그중에서 길가메시가 엔키두에게 삼나무 숲을 지키는 후와와를 치러 가자고 제안하는 장면을 수메르어 판본은 이렇게 묘사한다. 길가메시는 인간이 결국 죽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 때문에 슬퍼하며 산에 올라가서 큰 업적을 세우고 자기 이름을 남기겠다고 결심한다. 그러나 그의 종 엔키두는 그 숲을 태양의 신 우투가 관리하고 있고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일을 신이 알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그러자 길가메시는 흰 염소와 갈색 염소를 우투 신에게 제물로 드리면서 자기 계획을 허락해 달라고 빈다. 우투 신은 처음에 재물과 사회적 지위를 다 가진 그의 소원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러나 길가메시가 눈물을 흘리면서 자기 인생이 허무할 뿐이라고 간절하게 호소하자 “그의 눈물을 예물로 받았고” 그에게 신화적인 힘을 가진 군사들까지 주면서 청을 허락한다.

여기서 ‘예물’이라는 수메르어 낱말 자체가 ‘마음속에 있는 것’을 뜻하며, 길가메시가 드린 염소 제물보다 눈물로 마음을 열어 드렸을 때 그것을 기쁘게 받았다고 말하고 있다. 이것은 제도권 종교의 제의에 상반되는 진실한 종교심을 표현하고 있는데, 이미 수메르 시대부터 이런 종교사상이 움트고 있었다는 점이 놀랍기만 하다.

같은 장면을 후대 아카드어 판본으로 읽으면 엔키두가 엔릴 신이 지키는 숲이라고 말리는 것도 마다하며 길가메시가 모험을 떠나겠다고 하는데, 그는 인생이 유한하다는 말을 하긴 하지만 주로 사내의 영웅심을 부추기며 엔키두를 설득하려 한다. 여행을 위해 태양신에게 기도하는 자도 길가메시가 아니라 그의 어머니이고 태양 신이 특별한 계시를 내려주지도 않는다.

이 문단은 길가메시가 삼나무 숲의 괴물과 싸워서 이긴다는 아카드어 판본 이야기의 도입부에 불과하고 요약된 줄거리만 읽는 사람들은 쉽게 무시하고 지나갈 수 있는 장면이다. 다른 말로 하면 왕궁에 소속된 유능한 서기들은 토판 열두 개를 들여 방대한 분량의 서사시를 기록하면서 영웅 길가메시의 눈물을 삭제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수메르어 판본에서 길가메시가 열어 보였던 진심은 후대 사람들의 눈에 불편한 진실일 뿐이었고 그의 업적을 가리는 불필요한 사실이었던 것이다. 니느웨는 서아시아 최대의 제국인 앗슈르의 수도였고 그 왕궁에서 생산하는 작품은 개인의 진심보다 올바른 정책 목표를 제시해야 했기 때문이다.

온라인 서적 검색으로 길가메시를 찾아보면 우리말로 ‘길가메시 서사시’를 번역한 단행본과 판타지 소설과 동화책과 만화책까지 마흔 종이 넘는 책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책들도 길가메시의 눈물을 소개하고 있을까? 이런 책들을 사서 읽는 독자들은 현대 대한민국 사회가 어떤 눈물을 드러내고 어떤 눈물을 지우는지 생각해 볼 기회를 얻었을까? 사람이 사람과 부대끼면서 살 때 눈물을 흘릴 일이 아주 없을 수는 없겠지만, 우리 사회가 자기 눈물에 취하지 말고 이웃의 눈물을 기억할 수 있으면 좋겠다.

2023. 02 08

윤성덕 연세대 기독교문화연구소 전문연구원

출처: 국제신문 (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1700&key=20230209.22019001488)